Art/국악, OST
옹헤야 - Saltacello (손기정 추모음반)
하늘아래뫼
2008. 11. 9. 23:03
옹헤야 - Saltacello (손기정 추모음반)

28379
2001년 10월 독일주재 한국대사관 문화홍보원이 운영하는 웹사이트KOREAheute (www.koreaheute.de)에 독일인 슈테판 뮐러씨가 독일어로 기고한 글입니다 여러분들은 감동적인 이야기를 좋아하십니까? 그렇다면 이야기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지도를 펼치십시오. 그러면 여러분들이 아마 알고 계실 중국과 일본 사이에 반도 하나가 놓여 있을 것입니다. 바로 그 반도가 한국이라는 이름을 지닌 나라입니다.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바로 이 조그마한 나라의 어떤 마라토너입니다.
지도에서 보듯이 이 나라는 두 강대국 중국과 일본 사이에 끼여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나라는 지난 2000년 동안 한 번도 자율성을 잃어본 적이 없습니다. 한국인들은 "나라"라는 말보다는 "민족"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 나는 어느 여름날 우연히 본 한 장의 사진 때문에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에 얽힌 엄청난 이야기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1936년 히틀러 정권시절 베를린에서 올림픽이 개최됩니다. 그 당시에 마라톤경기에서 두 명의 일본인이 1등과 3등을, 그리고 2등은 영국인이 차지합니다. 하지만 시상대에 오른 두 일본인의 그 표정이라는 ... 그건 인간이 지을 수 있는 가장 슬픈 표정입니다... 정말 불가사의한(아리송한) 사진입니다... 왜 그 두 사람은 그런 슬픈 표정을 지으며 시상대에 올라 있는 것일까요?
옛날과 마찬가지로 현재에도 가장 인간적인 종교인 유교의 영향하에 있는 이 나라, 아니 이 민족은 (죽음을 미화하고 폭력을 사용하기를 좋아하는) 이웃한 일본인들을 "왜놈(일본놈)"이라고만 부릅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이 자의식이 강하고 인간의 존엄성에 큰 가치를 두는 이 민족이 "왜놈"에 의해 정복을 당합니다. 다시 말한다면 식민지배를 받게 되는 것이지요. 그것은 "강간"이라고 밖에 달리 말할 수 없지요. 바로 여기서 이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그 당시 식민지의 대부분의 불행한 젊은이들은 엄청난 고통과 시련 속에서 개인의 꿈을 접고 살았습니다. '손(기정)'과 '남(승룡)'이라는 두 젊은이도 예외는 아니었지요. 그래서 이 두 사람은 그 울분을 마라톤으로 표출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들은 수많은 일본의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마침내 올림픽경기에 참가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뛰고 또 뛰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들은 달리는 동안 무엇을 생각했을까요?
결국 그들은 우승을 해서 시상대에 올랐지만 그들의 가슴에는 태극기가 아닌 일장기의 붉은 원이 붙어있었습니다. 그리고 시상대에도 일본의 국기가 게양되었습니다.(대다수의 국기가 혁명과 투쟁과 승리를 상징하며, 황제의 무기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한국의 국기는 우주와 세상에서의 인간의 질서와 조화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그 두 젊은이의 얼굴 표정이란 것이...두 사람은 얼굴을 푹 숙이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의 한없는 부끄러움과 슬픈 얼굴을 아무에게도 보이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그리고 일본의 검열하에서 이 기사를 실었던 '동아일보(원문에는 eastasia라고 돼 있음)'는 사진에서 일장기를 말소합니다. 그런데 이 행동은 숭고한 정신적 종교인 유교에 어울리는 독특한 저항방식이 아니겠습니까? 그 후 일본정부는 신문사의 폐간을 결정합니다. 이런 야비하고, 무지한 동시에 무식한 억압이 어디 있습니까? 하지만 이야기는 여기서 끝나지 않습니다. 마침내 이 민족은 해방을 맞이합니다. 그리고 이데올로기에 강요된 끔찍한 전쟁을 치른 후 이 민족은 한강의 기적으로(일본인들을 게으르다고 하는 사람들은 한국인들밖에 없습니다) 경제적으로 스페인이나 포르투갈보다 훨씬 더 부유한 국가를 만들어냅니다. 그 후 이 나라의 수도 서울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습니다. 52년이 지난 후에 말입니다... 가슴에 태극기조차도 달 수 없었던 이 나라, 이 민족이 올림픽을 개최하는 겁니다.
그리고 개회식 세레모니에서 성화주자로 경기장에 들어선 조그마한 소녀 마라토너의 손에서 성화를 넘겨받은 사람이 바로, 그 당시(1936년) 몹시도 슬프고 부끄러워했던 마라톤 우승자 손기정씨였습니다. 손에 성화를 든 백발이 성성한 이 슬픈 마라토너는 마치 세살박이 아이처럼 기뻐하며 달렸습니다! 감독의 지시는 없었지만 이 이야기는 이처럼 기쁘기 그지없는 장면을 연출해내고 있습니다. 그 당시 모든 한국인들은 이 노인에게, 아니 서로 서로에게 그동안 말로 표현할 수는 없었던 빚을 갚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드라마틱하게도 일본선수단은 올림픽경기 도중 슬픈 소식을 접해야했습니다. 쓰러져 죽음을 기다리는 일본천황에 관한 소식 말입니다. 한국인의 종교는 인간뿐 아니라 죽은 조상에게도 경의를 표하는 종교입니다. 이 종교의 보이지 않는 신이 역사적으로 본다면 (예수나 부처가 할 수 없는) 하나의 기적을 일으킨 것입니다. 나는 이야기를 여기서 끝내고 싶습니다. 이런 감동적인 이야기는 그대로 계속 보존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국인들은(납득하기 어려운 복수심이나 오기 그리고 거친 폭력과 같은 것이 아니라) 놀라운 정신력으로 자신들이 50여년 전에 잃어버렸던 금메달을 되찾습니다. 서울에서 올림픽이 개최되고 4년 후 바르셀로나올림픽에서 늙은 '손(기정)'과 비슷한 체구를 지닌 '황(영조)'라는 한 젊은 마라토너가 몬주익 언덕에서 일본과 독일 선수를 따돌리고 월계관을 차지합니다. 경기장에서 한국국기가 게양되었을 때, '황'은 한국국기에 경의를 표하며 기쁨의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관중석을 향해 달려가 '손'에게 메달을 선물하며 깊은 경의를 표했습니다. 황을 껴안은 '손'은 아무 말이 없었습니다.
나는 이 이야기를 접했을 때 인간에 대한 믿음으로 기쁨을 감출 수가 없었습니다. 한국인들, 아니 한국 민족과 같은 사람들은 폭력과 거짓과 불화가 아닌 불굴의 의지로 고통을 극복할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이 이야기는 슬픈 눈물로 시작하여 기쁨의 눈물을 흘리는 행복한 결말로 끝을 맺습니다. 이 한국인들, 아니 이 한국 민족은 역사상 그 어떤 민족도 그럴 수 없었던 인간의 존엄성을 그리고 국가와 민족으로서의 존엄성을 만방에 떨친 민족이 아닐까요? 도서관에 한 번 가보십시오! 그리고 시상대에 선 두 마라토너의 사진을 보십시오... 그 순간 여러분들은 이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
5인조 재즈 앙상블 살타첼로 ‘42.195 그레이트 손 헌정음반’
독일의 대표적인 5인조 클래식컬 재즈앙상블 ‘살타첼로’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 손기정옹을 추모하는 창작 연주곡 4곡을 담은 헌정음반 〈42.195 그레이트 손(GREAT SON)〉을 한국(굿인터내셔널)과 독일(파인톤레코드사)에서 동시에 냈다. 이 음반에는 ‘살타첼로’의 리더이자 피아니스트, 작곡자 페터 신들러(아래)가 당시 27㎞ 지점에서 자바라를 제치고 선두로 치고 나오는 장면을 격정적인 표현한 창작곡 ‘위대한 손기정-마라톤 맨(Marathon man)’과 당시 ‘마의 비스마르크 언덕’이라 불리던 37㎞ 지점을 독주하면서 가슴아플 수밖에 없었던 식민지 청년의 한을 그린 음악 ‘위대한 손기정-외로운 주자(Lonesome man)’가 담겨있다.
또 실향민인 손 옹이 “남북 통일이 되어 고향 신의주와 부산간 역전 경주에 한번 뛰어보고 싶다”는 소망을 표현한 ‘우리의 소원-캄 투게더(Come Together)’와 한국사회의 역동적인 모습을 묘사한 ‘빨리 빨리-다이나믹 코리아’ 등 2곡도 수록했다. 작곡자 페터 신들러는 “나는 하프 마라톤 주자로서 올림픽 챔피언 손의 위대함에 절을 한다. 그의 위대함이 다이나믹함과 마라톤의 힘이 느껴지는 이 곡을 쓰도록 내게 영감을 주었다. 손과 달리는 모든 이들에게 이 음악을 헌정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2001년 독일 언론인 슈테판 뮬러가 베를린 올림픽 당시의 조선의 식민지 상황과 청년 손기정의 비애 등을 적어 그의 홈페이지 올린 ‘어느 독일인의 글’을 읽고 손기정 옹에게 헌정하는 곡을 만들기로 마음먹었다고 말했다. 이 음반에는 또 우승 후 일본이 “크게 읽어”라고 강요하는 가운데 진행된 손기정의 인터뷰 육성 녹음과 1936년 올림픽 마라톤 우승 후 제작된 SP판의 축가 ‘마라손 왕’과 ‘제패가’를 비롯해 손기정의 사진과 그림, 베를린 올림픽 당시 어나운서의 마라톤 중계, 슈페판 뮬러의 ‘어느 독일인의 글’ 등을 시디북으로 엮었다. 이와 함께 ‘옹헤야’ ‘밀양 아리랑’ ‘강원도 아이랑’ ‘진도 아이랑’ ‘강강술래’ ‘나그네 설움’ 등을 재즈풍으로 편곡한 연주곡도 수록했다. 한편 이 음반은 오는 31일 발족식을 갖는 손기정 기념사업회에 헌정되며 감상회도 진행될 계획이다. (02)921-8781.
|
Tracking List
1. 손기정 육성녹음 1963 Voice From Son Archives 2. 위대한 손기정 Great Son - Marathon Man 3. 손기정 육성녹음 1936 Voice From Son Archives 4. 위대한 손기정 Great Son - Lonesome Runner 5. 빨리빨리 Dynamic Korea 6. 우리의 소원 Come Together 7. 나그네 설움(Nageunae Seol-Whoom) Dawn Chorus 8. 가야 Gaya 1 9. 가야 Gaya 2 10. 강원도 아리랑(Gangwondo-Arirang) Five In A Row 11. 진도 아리랑(Jindo-Arirang) East Circle 12. 옹헤야 ong-Heya 13. 밀양 아리랑 Milyang-Arirang 14. 강강술래 Ganggang Sullae 15. 영원(Youngwon) Forever 16. 마라손 왕 Marathon King 17. 제패가 Jepega

개똥이 엄마 옹헤야 - 개똥이 낳을때 옹헤야 안나와서 옹헤야 - 참기름바르고 옹헤야 문고리잡고 옹헤야 - 밧줄잡고 옹헤야
- 이하 가사 생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