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분석
서주는 2마디의 도입후 마디3∼10은 블루스 음계의 사용으로 재즈음악의 분위기이다. 마디11∼14는 f본청 계면조의 꺾는음의 사용으로 민속음악적이고 마디15∼25는 두가지의 요소가 함께 나타난다. 관현악법은 도입에서 신디, 거문고, 대아쟁의 3개의 악기로 시작을 해서 악기가 점차 늘어나면서 음향도 두터워지고 여러 가지 음악적 기법의 활용과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음악적 요소를 결합함으로써 다양한효과가 나타난다.
1> 마디 1-2 ; 도입
① 구성방식 ; ㉠음형 - f음지속음형을 두 번 반복했다.
② 리듬 ; ꁜ♪♩♩
리듬은 악센트가 생기지 않는 안정된 음형이다.
③ 화성 ; fm의 I,
④ 관현악법 ; *대아쟁, 거문고, 신디가 저음역의 F - f 를 옥타브로 같은 음과
같은 음형을 연주한다. (Unison)
*저음역 연주는 장중한 느낌이 들고 f음을 계속 반복하는것은 그것이 주된음임을
암시함과 동시에 음향을 저음에서 받쳐주기 위함이다.
*옥타브와 2개의 저음악기와 신디의 저음역, 이 3악기의 같은음을 연주하는 것은
소리의 두께를 두텁게하고 모듬북이 박을 잡아준다.
2> 마디3-10
① 구성방식 ; ㉠음형 + ㉡음형 + ㉢음형
* ㉡음형이 전개하고 ㉢음형의 가야금 선율이 대피리의 solo에 대선율의 역할을
하고 대아쟁, 가야금,거문고, 신디와 모듬북의 리듬이 ㉠의 f지속음형으로
받쳐준다.
* 대피리 solo 는 재즈의 블루스 음계를 사용했고 가야금의 대피리에 대한 대선율은
서양음악의 바로크시대의 대위법적으로 진행되었고, 서양음악의 기법인 음정확대로
선율을 변형을 하였다. 그리고 국악기로 연주되어 한국음악적인 색채도 있다.
* 한국음악적인 요소와 재즈적인 요소와 서양음악적인 요소가 모두 나타나있다.
② 관현악법
* 대피리의 음량이 크고 음색이 색스폰과 비슷해서 블루스 음계를 표현하는데는 국악기중
가장 효과적이다.
* 연주는 추성과 잔농현의 주법으로 한국음악적이다.
* 대피리가 여러쟝르를 포함하고 있어 자유를 추구하는듯한, 방황을하는듯함을 나타낸다.
* 대피리의 solo 선율을 강조하는 방식
ꊓ 같은 음형을 여러번 반복
ꊔ 음형이 단순하다.
ꊕ solo를 제외한 모든 악기가 첫박으로 매듭을 짓고
solo 선율은 첫박을 쉬고 시작한다. 그리고 나머지 악기는
쉬어서 solo 선율이 더 강조가 된다.
* ㉡ →㉡1 의 변형방식은 f→c♭1 인 증5도의 음정에서 f→f2 인 완전8도로 음정으로
확대했다.
* 대선율의 시작인 가야금 마디 3-4 은 ㉠1 의 축소된 형태로 시작되는 선율이자 ㉠1 을
암시하기도 한다.
*가야금의 마디 5-6은 는 다음에 나올 의 solo 선율의 확대된 형태이고 ㉡을 유도한다.
* 가야금의 마디 8-9는 ㉡1를 유도한다.
③ 화성 ; fm의 I
3> 마디 11-14
① 구성방식 ; ㉠ + ㉠1 + ㉠2
② 화성 ; fm의 I
③ 관현악법 ; 이 세가지의 형태는 악기특성에 맞게 작곡되고 변형된 형태이다.
* ㉠음형은 대아쟁과 거문고의 저음악기의 특성을 살리고 신디에서도 저음에서 멜로디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기 위한 음형이다.
* ㉠1의 음형을 관악기의 특성을 살려 꺾는음이 (Ab,G)위에서 f음을 수식하여 f음을
강조하고 더음청인 E♭이 아래에서 f음을 수식해서 f음을 강조한다.
* ㉠2는 가야금의 특성을 살려서 13도의 음역에서 분산화음 음형으로 변형시켰고
chord 음형으로 매듭을지음으로서 다음에 나올 대피리 solo 선율을 강조시킨다.
* 마디 7-10과 마디 11-14는 아주 대조적이다.
마디 7-10은 가야금으로 매듭짓는 음형과 solo를 연주할때 나머지 악기가 쉬어주는
것과 대위선율과 solo 선율이 주고받는것 등 선율적인 것이 강조되는 반면에
마디 11-14는 f음의 지속음적인 효과가 두드러지 면서 대조를 이룬다.
4> 마디15-18
①구성방식 ; ㉠㉠1㉡㉢1
② 관현악법 ; * 마디 3-10과 마디 11-14의 방식이 융합되었다.
* f 지속음형과 대선율과 solo가 모두 다 나온다.
5> 마디 19-22
① 구성방식 ; ㉠㉠1㉠3㉡㉡2
② 관현악법 ; * 가야금에서 ㉠음형에 꺾는음을 넣었다.
* 대피리에서 부분동기가 사용된다. 마디 3-10은 음정확대로 solo선율을 진행시켰고
여기서는 선율을 반으로 잘라서 반복시키는 것으로 진행시켰다.
③ 화성 ; fm의 I 도 화성만 있다.
6> 마디 23-26
② 관현악법 ; * 가야금에서 꺾는음을 빼서 쉬어줌으로써 사리지는 효과가 있다.
이는 서주를 끝내주기 위함이다.
③ 화성 ; fm의 I
'My Art > 내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2- 구조,구성요소,음계 (0) | 2007.02.01 |
---|---|
논문3- 기법 (0) | 2007.02.01 |
논문4-A분석(마디26-144) (0) | 2007.02.01 |
논문5-B, C 분석 (0) | 2007.02.01 |
논문6-악보분석1-6 (B5) (0) | 2007.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