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Art/내논문

논문2- 구조,구성요소,음계

하늘아래뫼 2007. 2. 1. 00:46

27640

 

      III. 본 론

1. 전체적인 구조.

 

 

 2. 서주


1) 구조 ; 마디 1-25

 

 

 

2) 구성요소


㉠ ; f음 지속음형 (대아쟁, 거문고, 신디)

 

1 ; 관악기에서의 f음 지속음형(대피리, 태평소, 대금, 피리)     

      꺾는음이(Ab,G) 위에서 f음을 수식하고하본청인 E이 아래에서 f음을 수식한다.

 

2; 가야금에서 현악기에서의 f음 지속음형

              

 

3; f지속음형에 꺾는음을 연주해서 대금 피리와 같이 연주한다.

 


 

4 ; ㉠3을 꺾는음을 없애고 쉬어준다.

     원래의 선율에서 특정박의 선율을 없애고 쉬는 것은 음향이 작아지는 효과와 느낌을 하강시키는  

     효과가 있는데, 여기서는 서주를 마치기 위해 감정을 하강시키고 점점 사라지는 효과가 있다.

 

  ㉡ ; solo 음형 ; 대피리에서만 나온다.

 

 

 

1 ; ㉡의 음역은 f→c♭1 인데 f→f2 로 음정을 확대했다.

 

 

 2 ; ㉡의 부분동기이다.

 

 

㉢ ; 대피리와 가야금이 주고받는 선율

 

 

3) 음계: f 본청 계면길, Blue Note Scale


  가. f 본청 계면길

 

① 하청  * 본청의 완전4도 아래음으로 주로 농현을 한다.

          * 테누토처럼 또박또박 연주를 하기도 한다.

          * 옥타브 위에 사용될 때는 떠는 성질이 대폭 약화되어 우조길의 상청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② 더음청 * 계면길의 부가음.

          * 게면조의 전형적인 음계는 5음음계가 평조나 우조의 하본청처럼 사용된다.

          * 더음청으로 인해 계면길의 슬픈 감정이 약화되는데 그것은  슬프지 않은 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덧붙여진 음이라고 할 수 있다.

 

본청 * 중심음으로 대개 이음으로 종지한다.

          * 평으로 소리를 낸다.

 

꺽는 아래청 * 대개 꺾는 윗청에 예속되어 출현한다.

                   * 본청이나 하청으로 진행한다.

                   * 반종지의 역할을 많이 한다.

                   * 꺾는 아래청에서 본청으로 진행시 진계면은 미분음으로 흘러내린다.

                   * 꺾는 윗청에서 꺾는 아래청의 진행만 있고  그 반대로는 진행하지 않는다.

                      한국음악에서 반음은  하향진행만 있다.    

         

⑤ 꺾는윗청   * 슬픈 감정의 원인이 되는 음이다.

                 * 꺾는 아래청을 수반하지 않고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 슬픈 감정이 덜하게된다.

                 * 꺽는 아래청으로 진행하고 꺾는 윗청이 강박이다.

                 * 꺾는 아래청의 전타음과 같은 효과이다.

                 * 2도위(엇청), 3도위(상청)의 음과 장식음 군을 가진다(다루친다)

 

⑥ 엇청 * 서양음악의 버금딸림음과 같이 선율의 분위기를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 전조에 효과있게 사용된다. 1

 

  나. Blue Note Scale


블루스는 흑인들의 음악으로서 오랫동안 존재해 왔지만 제 1차 세계대전 이후까지 대중의 주목을 받지못했다. 그러나 블루스는 재즈 전통의 중심지에 있었고 재즈 초기 형태로 이해되기도 한다. 블루스는 원래 아프리카 미국인(Afro-American)의 종교음악과 노동가의 한 부분에서 파생한 노래를 주로 사용하는 음악으로서, 재즈의 중대한 영향을 주었을 뿐만아니라 리듬 앤 블루스(Rhythm & blues), 로큰롤(Rock and roll)등의 대중음악의 중요한 뿌리가 되고 있다. 블루스는 흑인 노예들의 혹독한 생활환경을 반영하는 우울한 분위기로서 그 음악은 대부분 느리고 슬프다.

 블루스는 억세고도 무감각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저속하거나 감상주의에 젖어 들지 않는 것은 거친 재즈의 뒷면에는 고통이 숨어 있기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그 표현이 매우 독창적이며 제멋대로인 재즈의 독특한 매력이다.2

 재즈에 블루스 필링(blue feeling)을 도입하기위해 스케일 위의 제 3음과 제 7음을 반음내려서 연주하는 방법이 예로부터 일반화 되었으며, 이러한 마이너 느낌이 강한음을 블루 노트(blue note ; ♭3, ♭7)라고 한다.  이들 불루 노트를 사용함으로써 메이저스케일(Major Scale)은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3

 

 

 

 

 

  

  1. '백대웅 저 \ [본문으로]
  2. 'Leonard Bernstein \ [본문으로]
  3. '조봉행저 \ [본문으로]

'My Art > 내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0) 2007.02.01
논문3- 기법  (0) 2007.02.01
논문4-서주분석(마디1-25)  (0) 2007.02.01
논문4-A분석(마디26-144)  (0) 2007.02.01
논문5-B, C 분석  (0) 2007.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