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Art/한국음악사

조선시대-당악의 향악화,가곡

하늘아래뫼 2007. 2. 28. 02:44

27774

 

3. 당악의 향악화

 

당악의 향악화가 된 것을 알기위해 그 시대의 아악, 당악, 향악, 민속악을 비교하여 당악이 향악화된 과정을 보고 현재 남아있는 조선중기의 향악화된 당악인 보허자와 그 파생곡인 보허사, 밑도드리, 웃도드리, 양천도드리, 우조가락도드리의 파생원리와 그 특징을  본다.

 

1) 당악기의 향악화

 

   ①박 ; 통일신라 이후에 향악기로 사용 <고려사악지>-향당겸용

           <악학궤범>-당악기로  분류 향당겸용

   ②장고 ; <고려사>악지-향악기와 당악기조

             <악학궤범>-당악기로 분류 향당겸용

   ③해금 ; <고려사>악지-향악기조 <악학궤범>-당악기로 분류, 향당겸용

   ④월금 ; <악학궤범>-지용향악, 안현법도 향악식

   ⑤당비파 ; 세종때 향악에 편성

   ⑥아쟁 ; <악학궤범>-향당겸용

   ⑦당적 ; <고려사>악지-지공 7개 <악학궤범>-7번째공은 짚지 않는다.

   ⑧당피리;<고려사악지>-지공9개 <세종실록>지공 앞7개, 뒤2개

              <악학궤범>9공은 없앤다.앞7개, 뒤2개

   ⑨태평소;악학궤범에서 당악기인데 향악기로 사용.

 

2) 아악, 당악, 향악, 민속악의 비교

 

 

 

3)  당악의 향악화(보허자의 향악화과정15c-18c)

 

 

4) 파생

  ①古보허자(현존하지않음)

        (향악화, 기악화)

  ②보허사(현악보허자) ꊓ 7장

                            ꊔ 20박이 한 장단 4・2・4・4・2・4(황중임황임중)       

       ↓(압축,축소)            ꊕ 유일한 현악합주곡(거문고, 가야금, 양금, 장고)

  ③밑도드리(수현장지곡)ꊓ 전7장       

         ↓ (8도위로 이조)    ꊔ 6박이 한 장단 1・1・1・1・1・1(황중임황임중)-6/4

  ④웃도드리(송구여지곡)ꊓ전 7장        

         ↓                         ꊔ 6/4                   

  ⑤양천도드리 ꊓ 웃도드리를 주요 2음을 추출하여 거문고의 문현을 삽입

                  ꊔ 전 7장

                 ꊕ 12/4                                    

  ⑥우조가락도드리 ꊓ 양천도드리를 변화-주요음∼문현을 주요음의 구조로 변조

                       ꊔ 전 7장

                       ꊕ 12/4

  ⑦보허자 ꊓ 7장중의 1,3,4장의 관현악합주(당피리중심)

             ꊔ각장의 종지악절 가락과 동일

             ꊕ 연음사용

낙양춘과 더불어 보허자는 당악을 연구할수 있는 유일한 곡으로 당악이 향악화 되어가는 과정을 알 수 있는 음악적인 가치를 가진다.

 

4 가곡

 

   가곡은 세악반주에 의해 시조시를 노래한 성악곡인데 가곡의 형식과 역사적

   변천과 연주형태를 보면 아래와 같다.

 

1) 가곡의 역사와 종류 

 

  ꂎ擧; 든다는 선율을 높인다는 말.

    농; 흥청거리다, 낙; 즐겁다, 언; 지르다, 편; 촘촘하다

    반우반계; 반은 우조 반은 계면조

 

2) 가곡의 형식 ; 5장 2여음

   대여음 ->1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

     A       B    C         A          C'     A'

   대여음

   1장 ‥ ‥동창이 밝았느냐

   2장 ‥ ‥노고지리 우지진다

   3장 ‥ ‥소치는 아희놈은 상긔아니 이렀느냐

   중여음

   4장 ‥ ‥재 넘어

   5장 ‥ ‥사래 긴 밭을 언제갈려 하느니

3) 가곡의 악조

   ①우조; 황 태 중 임 남 (5음음계)

   ②계면조 -황 중 임 (3음음계)

              -황 중 임 무 (4음음계)

 

4) 가곡의 장단

    ① 3대강시작

    ② 16박 10점 (10번침) 3 2 3 3 2 3                                    

                                     ↓

                                여기서 시작

         

           합이두번 들어간 특이한 형태

     ③편장단; 10박 10점 (빈박을 없앰)

       

 

5) 가곡의 가창형태 (연창)

     ①남창-26곡 ②여창-15곡 ③남녀교환창,남녀병창-태평가

 

6) 특징

     ①세악편성-세피리,대금, 가야금, 거문고, 해금, 양금, 장고

     ②어단성장-말은 짧고 소리는 길다.

     ③모음분화

        아-아으아, 애-아으이 ,왜-오우이, 에-어으이  등등

 

7) 가곡의 파생유형

    1)속도의 변화; 만->중->삭

    2)선율 스타일의 변화

     ①이조; 거, 중광지곡⇒평조

     ②선율진행형을 바꿈(장식음 첨가)

     ③조를 변화 ; 반우반계 (우조 ⇔ 계면조)

 

8) 가곡의 파생곡

     ①만대엽->중대엽->삭대엽

     ②이삭대엽->두거, 중거,평거.

                  ->태평가(2도 ↑이조)

     ③삼삭대엽->소용

     ④평농->언롱(↑)->언편(촘촘)

     ⑤우롱->반엽(반우반계)

     ⑥우락->언락(↑)

     ⑦우락+계락 ; 환계락(반우반계)

     ⑧언락+편삭대엽 ; 편락(반우반계)

조선시대의 특징은 기악화 되는것인데 유일하게 가곡만 성악으로 변화, 발전해갔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모든 음악적인 변화방식을 모두 포함하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