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Art/한국음악사

무악,시나위,판소리,산조의 비교,산조

하늘아래뫼 2007. 2. 28. 02:43

27773

 

무악, 시나위, 판소리, 산조의 비교

 

   *음악적으로 무악과 시나위와 판소리는 연관성이 없다.

 

판소리와 산조의 기원론

1) 무악→노래;무가→판소리

   무악→기악;시나위→산조

2) 판소리와 산조가 무악과의 연관성은 없음.

   창우집단→소릿광대→판소리→산조

          전문적인 연희꾼                기악화

 

     산조

 

1 음악의 형태; 점점빨라짐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는 가야금에만 있음)

2 선율의 구성원리 ; 긴장과 이완

3 선법 ; 계면조(80%), 우조, 평조

        진양의 첫 번째, 산조의 시작.

4 악기와 역사

  ①가야금산조→②거문고 산조→③대금→④해금→⑤피리→⑥아쟁→⑦단소

     김창조,박팔괘       백낙준           박종기     지용구   최응래    한일섭

5 가야금 산조의 분류(초창기 연주자의 활동지역과 출생지를 기준으로)

  ①전남제; 김병호류, 강태홍류, 최옥산류.

  ②전북제; 신관용류.

  ③충청제

6 선법

  진양조 - 우조, 돌장, 평조, 계면조.

           - mode의 개념이 아니라 악상이나 음악의 느낌.

           - 청에 의해 선법이 결정

  ①우조(평조) ; 솔 라 도 레 미

  ②계면조

              

 

개인(유파, 연주자)에 따라서 음고의 폭이 유동적이고 후대로 오면서 계면적인 성향을 많이 가미하면서 산조 본연의 선법 파악이 매우 힘들게 되었다. 하지만 산조선법도 평조(우조)와 계면조의 두가지로 보아야 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