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Art/한국음악사

시조,정악의정법,조의역사,계면조의변질,민속악의조

하늘아래뫼 2007. 2. 15. 10:38

     시조

 

1 구조 ; 3장(초장, 중장, 종장)

 

2 역사

  ①신광수 <석북집>의 관서악보-이세춘에 대한 기록(이세춘이 이 시조의 장단을 붙였다)

  ②순조때 서유구의 <유예지> -최초의 악보이고 양금보이다(경제 평시조)

  ③이규경의 <구라철사 금자보>-경제 평시조

  ④<삼죽금보>- 평시조, 지름시조.

  ⑤<서금보>-평시조, 지름시조, 여창평시조, 여창지름시조.

  ⑥방산한씨 금보

 

3 분류

  ①경제(서울)-평시조, 지름시조, 중허리시조, 사설시조(편시조)

  ②향제(지방)-평시조, 지름시조.

 

4 장단(혼합박자)

  ①경제-초장, 중장 ; 5・8・8・5・8

           종장 ; 5・8・5・8

  ②향제-초장, 중장 ; 5・8・8・8

           종장 ; 5・8・8

 

   정악의 선법

 

 1 key -높은조 ; 우조

       -낮은조 ; 평조, 낙시조

       -현재 ; 임종계면조, 황종계면조

 2 mode -평조, 계면조   

  

  3 음계

  ①3음계면조-황・중・임

  ②4음계면조-황・중・임・무

4 악상(곡의 느낌)-우조, 평조, 석화재, 강산제

 

 

     조의 역사 

 

1 통일신라신대 <삼국사기> 악지-삼현삼죽의 조(향악의 조, 당악의 조)

  ①거문고-평조, 우조

  ②가야금-눈죽조, 하림조

  ③비파-궁조, 칠현조, 봉황조

                  당악조

  ④삼죽-평조, 황종조, 월조, 반섭조, 이아조, 출조, 준조

                   당악조


2 고려시대-알수없다.

 

3 조선시대

  ①세종실록 악보-황종조, 남려평조, 고선평조

  ②악학궤범- 아악60조, 당악28조, 향악14조.                          

         궁,상,각,치,우 5성이 12율로 돌아가면서 궁이되어 12X5=60

     * 향악14조

          

  ③ 양금신보 4조 ;  key(2)×mode(2)=4

     

 

   계면조의 변질

 

  (조선초기에는 우조가 많았는데 후기에는 계면조가 많아짐)

    <양금신보>

      우조・평조 →황종궁 ; 황・태・중・임・남

       평조・평조

       우조・계면조→황종궁 ; 황・협・중・임・무(5음계면조)

       평조・계면조

  ①평조 ; 변화가 없었다.

     ↓

  ②5음계면조-(고음화현상)--→③3음계면조----→④4음계면조

              (협종과 무역이 없어짐)                     (하행할 때 장식음으로 무역이 사용)

       황                   

      협→중려→임종

      중

      임

      무→청황종

 

  민속악의 조

 

민속악의 특징-지역성, 대중성, 표현력.

 

1 경서토리(평조에 가까운 조)

 

  1) 서도민요(수심가토리) - 평안도, 황해도

    ①음계

             

     ②특징-콧소리로 얇게 탈탈거리며 떠는 소리

             -고음을 사용하고 맑은 음색

     ③종류

      ꊓ평안도-수심가, 엮음수심가, 긴아리, 애원성,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

      ꊔ황해도-신염불, 자진염불,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사리원난봉가,

                  병신난봉가, 숙천난봉가, 몽금포타령.

 

  2) 경기민요(경토리)-경기도, 충청도 일부

 

     ①음계

           

     ②특징 ; 고음, 맑은소리, 요성이 위에 있다. 

                       요성은 별로없다.

     ③종류 ; 창부타령, 노래가락, 방아타령, 자진방아타령, 한강수타령, 양산도,

                개성난봉가. 

 

                      

2 동남토리(계면조)

 

  1) 동부민요(메나리토리)-경상도, 강원도, 함경도

     ①음계        

             

      ②특징 ; 저음, 거친소리       

      ③종류 ; 경상도 - 밀양아리랑, 울산아가씨, 쾌지나칭칭나네, 보리타작소리,

                            튀전타령.

                 강원도 - 강원도아리랑, 정선아리랑, 한오백년

                 함경도 - 신고산타령, 애원성, 궁초댕기.

 

  2)남도민요(육자배기토리)-전라도, 충청도일부

     ①음계     

       

       ②특징 ; 많이 떨고 많이 꺽는다.

                  3음 계면조 황・중・임과 동일

       ③종류 ; 육자배기, 자진육자배기, 진도아리랑, 긴농부가, 자진농부가, 새타령, 강강술래

 

3 제주민요

  육자배기토리와 경토리의 혼합형태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