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Art/한국음악사

삼국시대의 음악

하늘아래뫼 2007. 2. 28. 02:46

 

Point 1 고구려 음악의 발전-악기의 추가                                

        2 서역과의 관계

        3 거문고 음악

 

  고구려 음악

 

1 안악 고분(357년 동수의 묘의 벽화-고구려의 최초의 사료)

 

 

*행렬도와 주악도에 나타난 그림과 비슷한 자료가 같은 시기에 중국에도 나타남,

*고,소,각 종류의 악기가 같이 나타남->한나라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무악도에서는 고,소,각의 악기가 나타나지 않음->고구려 자체의 문화연주형태로 추측.

 

2 무용총(5c말-6c초의 벽화)

 

(1)거문고(≠무악도의 현악기)

  거문고와 같은점.

   1 연주자가 술대를 쥐고 있다.

   2 괘가 있다-중국에서는 괘가 있는 악기가 없다.

  거문고와 다른점.

   1 4현 17괘가 있다.(거문고는 6현16괘)

   2 4현이 모두 괘위에 있다(거문고는 3현은 괘위에 있고 3현은 안족위에)

(2)각  (3)완함 

 

   결론,(안압고분과 비교)

    각과 완함은 그대로 전승하고 현재와 다른 모형의 거문고가 출현,

 

3 집안현 17호분.(5c말-6c초의 벽화)

현금, 각, 완함, 소, +요고, 횡적<-악기의 추가가 일어남

                     추가

4 「수서」 칠부기.

금,    오현, 소, 고,   횡취, +쟁,  필률.

↑       ↑               ↑     (현)   (관)

가야금, 완함               횡적

5 「구당서」 구부기.

적, 오현, 소, 패, 탄쟁,소필율,도피필율,요고,+제고,담고,와공후,수공후, 비파,생.

                      ↑      ꀧ      ꀦ

                          쟁      필율(악기의 분화)

6 「신당서」 십부기.

의치적, 오현, 소, 패, 탄쟁, 추쟁, 소필율, 대필율, 도피필율, 요고, 제고,담고,와공후,  수공후,봉수공후, 비파,생, 호로생, 용두고, 철판.

 

고구려 음악에 늘어난 악기가 영향을 받은 나라.

 

  추쟁,요고-서량, 구자, 소륵,

  봉수공후-천축,

  대필률, 소필률, 도피필율-서량,

  제고, 담고-서량, 구자,

  비파, 오현-서량, 구자, 소륵, 안국, 천축.

  횡적-서량, 천축, 안국, 소륵,

고구려 음악의 사료에서 17호분이후 10부기까지 추가된 악기인 요고, 대필률,

소필률, 도피필률, 탄쟁, 추쟁, 소공후, 와공후, 봉수공후, 제고, 담고, 오현, 비파, 횡적, 등의 악기는 서량, 안국, 강국, 구자, 천축 등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악기였다. 이것으로 보아 고구려 음악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고 ①서역음악의 영향을 받아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②삼국중 가장 많은 사료가 있다.

 

 

거문고 음악 사료-벽화, 서적(삼국사지-악지)

 

1 통구 무용총 벽화에 17괘에 4현으로 되어있는 악기이고 4현이 괘 위에 있는

   악기,  연주자가 술대를 쥐고 있음.

2 [삼국사기]악지에 삼현조 현금 부분에 진나라 사람이 보낸 7현금을 고구려의

    제2상 왕산악이 개조하였다.

  거문고 음악만이 존재한 것이 아니라 거문고 + 歌 + 舞 형태의 음악이 존재했을 것이다.  

 

백제음악                                    신라음악

1.<삼국사기>악지에서 <북사>와<통전>을 인용. 1. 장경호 가야금 토우

2.<북사>-고, 각, 공후, 쟁,우,지,적               2. 광주 신창동과 경북울진에서 

               구부기 청악과 공통적으로 나타남             발견된가야금 유적.    

3.<통전>-쟁, 적, 도피필율, 공후                  3. 일본 정창원의 가야금.

             서량기, 고구려음악이 백제에 영향을 줌

 

 

결론

고구려의 음악은 서역의 음악이 북조를 거쳐서 고구려의 영향을 주면서 악기가 점점 확대되고 증폭되면서 웅장한 음악으로 유지하고 있었을 것이고 그것은 고구려인의 활동적이고 진취적인 기상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거문고라는 대표적인 악기가 있었다. 그에 비해 백제의 음악은 지, 우, 적, 공후 등의 악기로 보아 남조 계통의 음악의 영향을 받았고 타악기가 ‘고’ 밖에 없었는 것으로 보아 조용하고 아정하고 소규모 편성의 음악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고유한 현악기는 없었다. 신라는 가야금에 춤과 노래 등이 첨가되는 간단한 문화였다고 추측한다.

 

삼국음악의 공통점

1 악+가+무 형태의 종합연회    2 삼국 나름대로의 특징이 있다.

 

    일본에 전한 삼국음악

    point 1 증거 ; 일본책   3 어떤종류의 음악

            2 시기             4 현재 남아있는 형태

 

1 증거 - <일본서기> <아악료 직원령><속일본기> <일본후기>

 

2 시기 - 신라   551년 

           백제   554년 

          고구려 570년

                  -> 신라음악이 가장 먼저 넘어갔고 6c 중엽에 일본에 전파됨.

 

3 종류-① 伎樂-백제의 미마지가 612년에 기악을 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한국의 양주별산대놀이나 봉산탈춤 등과 그 내용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아 이 시대에 백제 가면극이 일본으로 넘어가 서로 다른 전통속에서

             발전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②舞를 수반한 연향악

        ③신라의 가야금 음악(樂+歌+舞)-신라의 가야금은 정창원에서 보물로 지정.

 

4 악기-①횡적;횡으로 부는 관악기로 추측.

        ②막목;춤의 반주로 사용되었으므로 횡적과 현악기인 군후, 그리고 피리 종류인 막목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③군후;고구려의 현악기인 거문고일 것이다.

        ④신라금(가야금)

 

*문제점 ꊓ횡적, 막목, 군후가 백제악과 고구려악을 동시에 연주하고 있다.

                (음악적 경향이 다르다)

          ꊔ 악기가 같은데도 백제악과 고구려악으로 나눈다(속일본기)

          ꊕ 에서 백제음악이 가장 영향력을 미쳤다

         

'My Art > 한국음악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일신라시대  (0) 2007.02.28
고려시대  (0) 2007.02.28
아악, 시대분할론, 장악기관  (0) 2007.02.28
조선시대-세종의 업적, 악학궤범  (0) 2007.02.28
조선시대-당악의 향악화,가곡  (0) 2007.02.28